과학자들이 저먼 다른 은하 혹은 우리 은하에 있는 별(항성)의 빛을 통해 분광법으로 그 별의 원소 성분등을 알아내잖아요?
빛의 스펙트럼 안에 나타난 프라운호퍼선을 분석해서 구성 성분 분석을 하는데
그러면 그 별에서 지구까지의 빛이 전달 되는 과정에서 다른 빛의 간섭도 있을텐데
그러면 해당 별의 원소 성분인지 다른 빛을 간섭한 별의 원소 성분인지 어떻게 구분을 하나요?
수십광년 떨어진 다른 항성 계에 골디락스 존의 행성에는 물과 대기가 얼마나 함유되어 있고 뭐 그런거 확인할때 저런 부분들은 어떻게 걸러지는지 알려주세요
초등학교 2학년 간이분광기 만들다보니 이러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네이버엔 안나오네영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