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력 증가 궁금합니다.. 4.5인데 5.0 가기 어렵나요??장비쪽 사진 올렷습니다 2023-12-13 22:48 음냠냠 (119.194.*.198)
4.5 에서 악세빼고 올 8강에 차수박고 악세는 6~7 끼고.. 탬으로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ㅠ

대양하고 월드경영은 하나도 안햇구요 몇가지 하긴햇어요.. 월경렙30인가
대양은 무슨 초반에 선박 업글하라고하던데 무슨 레시피? 그거없어서 안돼서 그냥 포기햇구요..

하둠지식작도 거의 끝나가고 도감도 거의 끝나가고요
렙은 95인데 뭘 더해야 5.0 갈수있을까요?? 현질은 못합니다 ㅠ 궁금합니다 무엇을 해야할까요
무자본에 5만은 너무 욕심인지....
1560

음냠냠

53430
  • 작성한 글52
  • 작성한 댓글10
  • 보낸 추천0
  • 받은 추천8
댓글 9
이시국대한 (119.207.*.51) 2023-12-13 23:01
가방열고 사진찍어 올리면 다들 도와주실꺼임🧙‍♂️
내 캐릭터 정보 보이게 찍으시면 됩니다
장비.장신구도 보이게
600층도 가능함 (수정됨)
2023-12-13 23:01
휴면명2609227 (115.139.*.122) 2023-12-13 23:25
무과금 1년차 5만입니다
2023-12-13 23:25
산군님 (125.140.*.53) 2023-12-13 23:29
설산다니시면서 악세 공허로 업글하시고
검은사당 꾸준히 하셔서 새벽장비 만드세요.
5만 그냥 넘어가실거에요.
2023-12-13 23:29
휴면명2533642 (59.12.*.224) 2023-12-13 23:37
무과금인데 이거 안 하고
저거 안 하고
투력 오르길 바라는 건 욕심

숙련도가 부족해서 그렇지
대양 = 3~4주면 도감작까지 끝나고
월경도 떠상런 하면 90까지 금방 찍음

강화나 득템은 될놈될이라 개인차가 좀 있지만
3~6개월 정도면 무과금으로도 530~560층 가능

안 하거나 안되어 있는 거 많으실 것 같은데
요정 같이 시간 갈아넣어야 하는 것도 있고
그냥 줍줍 1번으로 공허 악세 같은 건 500~700씩 오름

무과금은 현재 기준
8장비 8악세 10유물 7토템 (새벽 방어구 2개 + 공허 악세 5개)
이렇게가 끝이라고 보면 되고
다 하면 56000~57000 나머지는 순수하게 베이스의 영역

무과금으로도 600층 가능은 하지만
그건 2~5년씩 꾸준하게 한 사람들 얘기고
운 좋게 8토나 9악세 9장비 성공하면 좀 더 +가능 (수정됨)
2023-12-13 23:37
휴면명2533642 (59.12.*.224) 2023-12-14 00:34
베이스 낮은 건 게임을 얼마나 하신 건지 몰라서
말하기 좀 그렇고
스샷만으로 알 수 있는 건
생활 컨텐츠를 안 하시네요
파트리지오 875개 납품 최고 보상 무조건 받으세요

공허 악세 팔찌는 제작하신 것 같은데
잘못하신 거
귀걸이부터 하셨어야 함

기억각인도 대충 해놓은 것 같고
이런 식이면 500층 한참 걸리실 것 같네요

8악세 10유물 이런 게 어렵긴 한데
그거 한다고 투력이 엄청 오르는 건 아님
문양 각인도 신화고
의상도 안되어 있을 것 같고
총체적 난국이라 방송하시는 분 있다면 컨설팅 받아보시는 게
2023-12-14 00:34
작성자에 의해 삭제 되었습니다.
도리깨 (221.160.*.120) 2023-12-14 01:39
가방 클릭 → 왼쪽 하단으로 스크롤 → "전투력 구성" 정보.
여기를 보시면 '나'와 '평균'간의 격차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 가능하니
많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 검토하시면 됩니다. (수정됨)
2023-12-14 01:39
구쥐 (211.36.*.144) 2023-12-14 04:14
무과금으로 이런 혜자게임 없죠
6만대 투력인데 무과금으로 즐기면서 하시면 됩니다
2023-12-14 04:14
작성자에 의해 삭제 되었습니다.
장땡 (118.235.*.13) 2023-12-14 11:04
각종 지식(사막.설산.아침나라.대양 포함)
대양 월경 필수
2023-12-14 11:04
트라팔가D위펠로 (211.234.*.152) 2023-12-14 11:19
8토템이 중요합니다 악세 강화 수치에 따라 투력 증가치가 제일 높아요
2023-12-14 11:19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