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범위가 좁고 모션 시전시간이 길어 저점과 고점 포텐셜이 둘 다 낮은 스킬이다
1-2. 넉다운 판정CC를 갖고 있는데 1-1의 문제로 인해 콤보 연계에 사용시 오히려 딜로스가 발생한다
1-3. 홍보 영상에선 지면강타 모션과 비슷한 방법으로 스킬을 사용하지만 정작 인게임내 해당 사용방법은 어디에도 적혀져 있지 않다
( 이거 알고 계신분 제보좀 부탁드립니다.. )
1-4. 1-3의 방법을 알았다 한들, 마찬가지로 선딜레이가 길어 사용할 가치가 없다
1-5. 패시브 0.5초 쿨타임 감소 영향을 받는 것이 유일한 장점이다
2-1. 1, 2타격시 발생하는 각각의 검기 이펙트에도 타격판정이 존재해 중거리 CC견제가 가능하다
2-2. 반격 가르기와 마찬가지로 패시브 0.5초 쿨타임 감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용 빈도수가 높다
2-3. 기절 판정CC를 갖고 있어 넉다운보다 많은 바리에이션의 스킬 활용을 구사 할 수 있다
2-4. 데미지가 주력 기술들중 가장 강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2-5. 황혼의 상처를 대체해서 써야하다보니 잡기 불가가 아예 없어 잡기에 취약해진다는 큰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 지면 강타 심화기능에 잡기 불가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
4-1. 방패막기 성공시 혹은 기술 사용시 라밤 스킬의 쿨타임 0.5초 감소하기 때문에 글래디에이터의 컨셉을 살리는 플레이가 더더욱 필요해졌다
4-3. 방캔을 활용한 전투시 실질적인 환경에선 대략 라밤 스킬 한 번당 최소 3초 최대 5초 정도의 쿨타임을 돌려받는 느낌이다
4-4. 때문에 라밤 스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고점 플레이를 지향하려면 방캔 테크닉이 필수 요소가 됐다
4-5. 방캔은 글래디 유저중에서도 소수 유저만이 사용하는 까다로운 전투 테크닉이라 조작 난이도도 높고 피로감도 높다
4-6. 이러한 테크닉을 구사해야만 하는 클래스이기에 사람들한테 선호하지 않는 경향도 컸는데 이 테크닉의 중요성이 더더욱 올라갔다
반격 가르기는 아예 쓸 가치조차 없다시피 한 스킬이며 지면 가르기는 데미지"만" 놓고볼때 사용해야만 하는 스킬이다
그래서 지면 가르기를 사용할 경우 스킬 무엇 하나를 빼고 써야하는데
현재 글래디에이터는 스킬 8칸중 무엇하나 버릴게 없는 스킬로만 채워져있는 클래스이다 보니
( 잡기 - 잡기
방패진공 - 전가후슈, 정신력수급, 패시브를 킬 수 있는 빠르고 쉬운 수단
회전 가르기 - 메인 딜링스킬
지면 강타 - 메인 딜링스킬
돌진 찌르기 - 이동기
작열 - 이동기
전장을 꿰뚫는 창 - 패시브 활용 및 이동기
황혼의 상처 - 서브 딜링스킬 및 잡기불가 활용 )
정작 데미지만 바라보고 유틸 스킬을 포기하며 지면 가르기를 선택할 이유와 명분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히려 사용하지 않는 쪽이 좀 더 안정감 있고 정교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지면 강타의 심화 기능을 ON으로 하여 사용할 경우 잡기 불가에 대한 문제가 일부 해소 될거라 생각하지만
이럴경우 지면 강타 추가타 발생까지의 후딜레이가 길어 점프 상태가 끝나면 오히려 상대로부터 더욱 위험에 노출 된다는 큰 단점이 존재한다
추가타를 발생시키지 않을 경우 심화 기능 OFF보다 활용의 가치가 낮아지므로 여러모로 애매한 상황이며
앞서 서술한 내용까지 엮어 생각한다면 오히려 심화를 끈게 더욱 활용가치가 높다고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상" 가능한 영역의 범위까지 계산하자면
애매한 서브 딜링기인 황혼의 상처 대신 지면 가르기를 사용해 부족한 데미지를 보강할 수 있게됨과 동시에
황혼의 상처의 잡기 불가는 지면 강타 심화ON으로 대체하여 사용한다면 크게 문제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글래디에이터에게 있어서 라밤 스킬의 등장은 타클래스의 라밤 스킬간의 우위 비교를 제외하고 본다면
썩 나쁘지만은 않은 결과라고 볼 수 있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