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까지 특산품을 메인품목으로 잡고 다음마을에서 팔수 있는 무역품만 사는 방법으로 월드경영을 했습니다.
그런데 4세대마차는 무역품이 메인이지 특산품이 메인이 아니다라는 글을 봤습니다.
무역품으로 하면 판단 평균 1.3억이상은 번다는 영상도 봤고요.
그래서 몇일전 부터 무역품을 메인으로잡고 품목당 가능한 1200개 이하로 살수 있는건 다 사는 방법으로 했습니다.
루트는
정방향 : 벨리아 → 서부 → 벨리아 → 하이델 → 글리시 → 델페 → 플로린 → 에페리아 → 칼페온 → 베어마을 → 트렌트 → 베어마을
역방향 : 베어마을 → 칼페온 → 에페리아 → 플로린 → 델페 → 글리시 → 하이델 → 벨리아 → 서부 → 벨리아
총10개 마을을 도는 방식입니다.
그렇게 하다보니 이상한점이 있습니다.
무역품을 팔아봐야 대부분 18% ~ 22% 사이의 이득을 보고 팝니다. 그래서 평균인 20%로 생각하면 됩니다.
무역품 구매시 시세도 있으나 기본값인 33,000으로 계산합니다.
총 10개 마을에서 살수 있는 무역품은 마을당 3종류씩 30번 구매가 최고입니다.
따라서 1종의 무역품의 구매금액은 3.3만*400=1320만 이고 이것을 20%의 수익을 보고 판다하면 1,584만 입니다.
1종의 무역품으로 264만의 이익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30번의 무역품 구매가 가능하니 264만*30= 7,920만 이 기대값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결론 : 월드경영 무역품으로 1억 이상 번다는 사람들은 전판에서 못팔아서 모아뒀던 무역품을 팔아서 1억 이상의 이익을 냈다고 하는것임.
무역품은 10개마을에서 30번 구매 고정임. 전판에서 못팔아 이익이 덜 난것을 다음판의 이익이라고 하는것은 좀........
(운이 좋아서 무역품을 최저가 구매 최고가 판매되는 물품이 많을 경우 제외)
특산품보다 무역품이 좋은점은 시세 최저-최고차가 크지 않다는 점입니다. (특산품은 보통 250% - 350%사이의 차이가 있음)
따라서 특산품의 시세로 스트레스 받지 않으려면 최고-최저 편차가 크지 않은 무역품으로 월드경영하세요.
오해가 있는거같아 제목수정합니다.
월드경영 무역품으로 1억은화 이상은 힘듬.
월드경영 무역품으로 평균 1억은화 이상은 힘듬.(떠상제외) (제목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