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도전 일타강사!]] 초보 가이드 & 졸업이후 로드맵 2025-09-20 10:22 케르베스 (211.179.*.74)
1. 초반(캐릭터 생성 ~ 시즌 초중반) — 첫 1주일에 꼭 할 것

클래스 선택: 취향 우선. 다만 초심자라면 조작성(회피·범위기 쉬운 클래스)을 우선권으로 선택하면 초반 사냥과 생존이 쉽습니다.

시즌 패스 보상 우선 수령: 시즌 패스 보상은 ‘성장 가속 도구(경험치, 유틸 아이템, 입장권 등)’가 많습니다.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소모성 보상은 빠르게 써서 성장에 연결하세요.

질서의 두루마리 / 소모품 사용법: 초반 성장 촉진 아이템(경험치, 이동/전투 편의)은 아끼지 말고 바로 사용. 장기 보관 아이템(펄·영구 편의)은 상황 보고 보관.

혼돈의 균열(혼돈 던전) 일일 입장: 매일 입장해 보상과 혼돈 장비 강화 재료를 모으세요. 파티로 돌면 클리어 속도↑, 보상 기회↑인 경우가 많습니다.

은화(실버) 확보 루트: 초기에는 반복 의뢰, 메인/서브 퀘스트, 자동사냥(설정) 활용. 무게 관리와 자동 판매 설정을 적절히 해 은화 누수 방지.

2. 장비/강화 우선순위 (시즌 패스 장비 → 혼돈 장비 전환)

우선순위: 무기(주무기) → 방어구(갑옷·투구 등) → 보조 장비(장신구, 반지 등).
이유: 공격력(무기)과 생존(방어구)이 가장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혼돈 등급 장비 준비: 시즌 장비로 기본 전투력을 만들고, 혼돈 장비는 무기/갑옷 먼저 확보. 장신구는 여유 생기면 제작/구매.

강화 팁: 강화 시 재료·실버 소모 큼. 중요한 단계(고단계 강화)는 자원·보호 수단을 확보 후 시도하세요. 초반에는 '저비용 단계'로 빠르게 밀어 전투력을 높이는 게 효율적입니다.

3. 시즌 졸업(시즌 종료 직전·직후) — 무엇을 목표로 할까?

목표 설정: (1) PvE 중심(사냥/필드) → 장비와 공격력, (2) 보스/레이드 중심 → 보스 장신구·세트 구성, (3) 생활(거래/노드) → 경제 기반 확립

추천 콘텐츠: 이미지에 나온 것처럼 끝없는 겨울의 산, 검은 사당 등 중급·고급 던전으로 넘어가 경험치·재료를 확보하세요. 콘텐츠별 요구 전투력·장비가 다르니 목표 먼저 정하고 준비.

장신구/장비 다음 단계: 혼돈 장비로 전투력 기본을 만든 뒤엔 **보스 장신구(혹은 제작 가능한 고효율 장신구)**를 노리세요. 장신구는 비용이 크지만 전투력 상승 폭도 큽니다.

4. 일일·주간 루틴(효율적으로 성장하는 체크리스트)

매일

시즌 패스 미션 / 보상 수령

혼돈의 균열 일일 입장

자동사냥·반복 의뢰로 은화·재료 수급

거래소 가격 확인(필요템 재구매/판매)

매주

주간 레이드/보스 공략

제작 재료 모음 및 필요 아이템 제작/교환

길드 활동(길드 의뢰, 기여 보상)

5. 생활 콘텐츠 & 경제 (은화·재료 효율 극대화)

노드 연결과 투자: 주요 루트(도시-사냥터-거래소)를 연결하면 장기적으로 재료·은화 수급 안정화.

가공/요리 활용: 가공·요리로 부가가치 올려 거래소 판매 수익 확보.

재료 팔기 전 확인: 시즌 패스 보상으로 얻는 재료 중 향후 제작에 필요한 것은 즉시 팔지 말고 목록화하세요.

6. 길드·커뮤니티 활용 팁

길드 가입은 초반 필수: 길드 버프(경험치·전투력·입장 등)와 파티 공략 협조가 성장 속도를 크게 끌어올립니다.

공략&지식 게시판 활용: 특정 보스·지역은 클래스별 공략이 다릅니다. 같은 클래스 고수에게 질문하면 핵심 팁을 얻기 쉽습니다.

7. 자주 하는 실수 & 피해야 할 행동

펄(유료 화폐) 단기 소비: 초반 편의성은 당장 편하지만 장기 성장에 더 좋은 투자(인벤 확장, 반려동물 등)에 분산하세요.

장신구 무분별 강화: 보석·장신구 강화는 실패 위험과 비용이 큽니다. 무기·방어구 우선 강화 후 여력이 생기면 강하게 밀기.

재료 전부 처분: 시즌 끝날 때 필요한 제작 재료를 미리 팔아버리지 마세요. 시즌 종료 후 교환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케르베스

52893
  • 작성한 글1
  • 작성한 댓글0
  • 보낸 추천0
  • 받은 추천0
댓글 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