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올리는 방향성 대한 의견 2025-07-02 17:26 휘휘 (121.187.*.96)

아직 패치되기 이전이라 조심스럽고 이미 준비된 패치 같지만 의견 내봅니다. 브레인 스토밍 환영이고 서로 반대되는 의견에 수준 낮게 긁지 않았으면 합니다.

 

이번에 예고한 잡기 패치는 잡기 밸류에 대한 리스크를 올려서 밸런스를 조정한다기 보다는 유저의 컨트롤을 제한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해서 아쉽습니다.

방향성이 자칫 잘못하면 "잡기 실패했으면 죽어야지"라는 느낌의 패치가 될 것 같습니다. 이것은 좋지 않은 방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잡혔으면 죽어야지"라는 느낌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예고된 패치 내용으로 가면 이 또한 개선하기 힘들 것 같아서 의견을 올립니다.

 

아마 아래와 같은 클래스들을 상대로 겪었을 때, 잡기, 비잡기 클래스 유저 관계없이 모두 상대하기 힘들다고 느꼈을 것 같습니다.

 

성능이 좋으면서 잡기까지 갖고있는 클래스들이 있습니다.

은신과 같은 고유의 편의성을 갖고 있는 클래스, 모험가 피해량이 증가되는 클래스, 잡기 중 이동 가능하면서 딜 또는 피흡, 유지력이 좋은 클래스

동시에 이런 클래스들이 잡기 후 라밤 기술 두 개를 다 사용해서 상대에게 극적인 딜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처럼 잡기와 성능 좋은 기술을 보유한 클래스들의 PVP 피해량과 성능 등을 점진적으로 하향 조정 또는 라밤 기술 시전 전에 추가 모션으로 딜레이를 넣는 것이 어떨지 고민해봅니다.

 

단순히 비잡기 클래스를 사용하는 유저들이 모든 잡기 클래스에 대해 사기적이라고 느끼는 반응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스칼라와 같이 잡기 성공 이후에 남은 라밤기 하나 넣기가 벅찬 클래스도 있습니다. 잡기 후 연계 딜이 부족한 클래스들은 따로 고려해서 패치했으면 합니다.

 

그러면서 비잡기 클래스 중 성능이나 라밤 기술이 활용하기 안 좋은 클래스들의 개편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이전에 있었던 잡기, 잡불 패치로 잡기 불가 효과 표시를 해주는 기능이 잡기 클래스에게 잡기 사용 타이밍을 알려주는 유리한 상황이였습니다.

잡기 불가 효과 표시를 지울 것이 아니라면 비잡기 클래스에게 잡기 불가 기술을 되돌려 주고 이후 잡기 클래스의 성능을 하향시키는 방향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조금 다른 예시로 위의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슈퍼 아머를 사용한 상대를 넉다운 시키는 것에 실패했다고 해서 제가 바로 죽을 위기에 처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기회를 노릴 수 있는 것처럼 유저의 플레이를 제한해서 잡기 실패 시 리스크를 키우는 것보다 비잡기 클래스의 잡기 불가 활용 기회를 더 주는 것이 극단적이지 않은 방향 아닐까 합니다.

 

잡기 자체 성능이나 클래스의 성능을 낮춰보고 그래도 안 되면 리스크를 주는 것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잡기에 리스크를 줘도 특정 클래스들의 성능에 대한 높은 인식은 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위 의견들이 점진적으로 패치되도 좋습니다.

 

이전까지 잡기 너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고 다른 유저들과 대화를 해왔지만 서로 반대되는 의견에 대해 공유가 부족합니다. 많은 의견 바랍니다.

 

(추가)

잡기 기술 재사용 시간이 너무 짧은 것도 유저들이 잡기에 대해 반발심을 갖는 요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잡기 전부 모션 통일할 거 아니면 잡기 기술 재사용 시간도 잡기 클래스 각각의 잡기 성능을 세분화 해서 단계별 조정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예) 타이탄, 투신 (25초) / 이그니우스, 노바 (20초) / 팔라딘, 스칼라 (18초)

휘휘

64476
  • 작성한 글51
  • 작성한 댓글173
  • 보낸 추천318
  • 받은 추천78
댓글 12
모험가1000571974 (118.235.*.27) 2025-07-02 17:33
타이탄 같은 개사기캐릭이 라밤2개 꽂아넣아넣고 8초지나면 또 잡을라고 하니 회피무한도 아니고 잡불스킬도 너프먹었으니 비잡기케는 답이안나오죠
위자드 같은 케릭 라밤 선딜 더럽게 길어서 쓰기힘든데
뭔생각으로 라밤만들엇는지 이해불가..

그렇다고 잡기실패시 무조건 넘어지게 하면 잡기케는 답안나오고..
잡기쿨탐 늘리고 잡불늘리고 라밤밸런스 다시 맞춰야함
2025-07-02 17:33
휘휘 (121.187.*.96) 2025-07-02 17:46
공감합니다.
제가 근래에 전이 시스템으로 어쩌다보니 잡기 클래스들 맛보기 하고 다니고 있느라 비잡기 클래스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네요.
제 본캐가 설화라 라밤기, 잡불, 유지력이 좋아서 현재의 타이탄 한번 대응해보고 비잡기 클래스의 입장에서 좀 더 의견 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유지력 부족한 비잡기 클래스도 한번 선택해서 해보려고 합니다. (수정됨)
2025-07-02 17:46
앙초코 (118.235.*.138) 2025-07-02 17:41
잡기 너프에 대해 부정을 하지는 않는 입장입니다만 글에서 써주신대로면 ‘잡기 자체의 성능이나 클래스의 성능을 낮춰보고’ 라는 내용과 ‘잡기 실패했으면 죽어야지’ 와 ‘잡혔으면 죽어야지’ 라는건 잡기 너프 후에 딱 알맞는 밸런스가 잡힐거라고 생각하시는 얘기의 글인가 궁금합니다! 잡기 너프에 긍정적인 방향을 표하는건가여?
2025-07-02 17:41
휘휘 (121.187.*.96) 2025-07-02 18:12
잡기 너프 자체는 필요하다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잡기에 모션을 추가해서 제한하는 방식은 다른 시너지 기술의 성능 조정을 먼저 해본 이후에 나와야 한다고 생각해요.

비잡기 클래스 중 넉다운 시킨 이후에 라밤기 두 개를 넣기 힘든 클래스가 있는 것처럼
잡기 클래스의 모험가 피해량 자체를 조정하거나 두 개의 라밤 기술 중 하나라도 선 모션 딜레이를 넣어서 잡기 이후에 극적인 딜이 나오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을 먼저 하면 어떨까 하는 의견입니다.

바로 밸런스가 잡힐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이후에 각 클래스 별 상황에 맞는 상향 패치를 기대해야 할 것 같아요.
하지만 예고된 패치 내용으로도 밸런스가 잡힐 거라고 생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잡혔으면 죽어야지, 잡기 실패했으면 죽어야지 둘 다 개선되어야 합니다. (수정됨)
2025-07-02 18:12
앙초코 (118.235.*.54) 2025-07-02 18:16
@휘휘 그렇군요 아마 본질적으로는 다들 비슷하게 생각은 할거에요 유저들이 인정할만한 다른 방법이 있을텐데 꼭 이상한 부분을 건들고 있으니 이렇게까지 말이 많아지는거고.. 잘 봤습니당!
2025-07-02 18:16
모야모 (125.128.*.186) 2025-07-02 19:13
스칼라가 잡기 후 연계 딜이 부족…?
그건 애초에 잡기 후 라밤 하나 넣기가 힘든 게 아님
잡기 자체가 라밤이라 중력핵 개방 특수 사양이 있고 눕힌 시점에서 블랙홀 풀타 폭발딜까지 적중 확정임
이 시점에서 적이 만약 기상기를 쓰거나 이탈기를 쓴다 치면 거기에 라밤으로 딜교까지 강요하는 거고
기상기는 그냥 피하면 되는 거 아니냐 싶은데 스칼라는 평소에 몹 끼고 무적난사 피감난사하고 다녀서 틈이 거의 없음 있더라도 장타 타이밍이라 멀리 있거나 크게 뛰어서 잡불이거나(그나마 이게 보기 편하다) 블랙홀을 방어용으로 쓴다면 전가후슈중일거고…
실제 동투 필드전 잡기 이후 딜은 잡기캐 상위권입니다…
2025-07-02 19:13
모야모 (125.128.*.186) 2025-07-02 19:16
잡기 이후 라밤이 현재 잡기의 리턴을 상징하고 있을 뿐, 라밤이 가져오는 이득 개념이 생각보다 포괄적임
캐릭터 스펙하고 라밤하고 잡기하고 포괄적으로 시너지가 나서 총체적으로 난국인 경우가 많음

수라같은 건 잡기후 흑궁 후딜캔 2라밤, 1라밤 2라밤, 일도 2라밤 기상딜교 이런 걸 각 따라서 취사선택이 가능하단 말임?
풀피감 개빡딜 잡기 위험상황 쟁에서 누킹 혹은 기술 절약해 슈아딜교에 쓸 화력 챙기면서 누킹 리턴 종류가 다 다름
심지어 풀피감인 흑궁후2라밤 조합 이룡 전가후슈짤 조준한 적한테 트루뎀 멀리서 박는 육도 발동방식까지 합치면 태전 중거리 캐리도 너끈
이놈은 이룡으로 잡기를 끊어서 잡기실패해도 후속모션이 전가후슈에 중거리짤 패시브2회트리거 세르트라는 게 더 끔찍함
앞회피잡기 모션반응해서 회피후 잡기 전진모션 피하려고 적 방향으로 빼도 중거리 전가후슈로 패서 손해라 무조건 더 크게 빼길 강요함ㅋㅋ

마찬가지로 타이탄도 일부러 전투중에 거리벌리고 라밤하나 털어서 패시브 끈다음 다시켜서 갱신하고 최대체력 늘려 피채우는 컨도 기본임
앞으로 뛰는 거 모션 크고 돌진 가능하니 슈아딜교중에 대충 털고(맞으면 이득 빗나가도 패시브갱신 트리거니까) 휘적휘적 라밤만 잡기이후 쓰는 식으로 변주를 줄 수도 있음ㅋㅋ 장기전 되면 잡기 1라밤2라밤 다박는 타이탄보다 이런 친구들이 더 짜증남
그리고 타이탄 역시 순포로 잡기 끊으면 그만이고ㅋㅋㅋ 디트 순포 버프해주면서 타이탄 순포도 겁나 세진거 아심?

스칼라도 말뚝이라 아무도 안 맞아주는 이론상 최강 기술을 잡고 확정으로 중력핵 폭발 패시브까지 터트려서 풀딜로 넣을 수 있다는 게 라밤 잡기로 받은 리턴임ㅋㅋ 일반 잡기에 라밤 딜리턴이나 라밤 잡기에 라밤급 기술로 딜리턴이냐의 차이일 뿐이랍니다.
물론 여기까지만 보면 똑같이 잡기이후에 딜쎈 일반스킬 박을 수 있는 레타도 사기캐여야겠죠? 하지만 스칼라의 다른 스킬들이 차별점을 만들어냄 생존기가 출중하고 특성상 몹 끼면 주도권을 쉽게 쥘 수 있어서ㅋㅋㅋ
게다가 망치돌리기 그것도 라밤 중에서는 제법 맞추기 쉬운 편이라 보는데(대참 맞추기가 더 어렵다) 굳이 잡기이후에 쓸 필요없지 않음?
섀도우 하면서 느낀건데 그 느려터진 피검장도 슈아딜교에 쓰려면 충분히 쓸 수 있음? 특히 마루오름같은 긴 슈아기를 찍어누르거나 할광 혹은 뒷구르기로 잡기 흘리고 박아주는 게 별미인데 스칼라도 무적으로 잡기 흘리게 압박하면서 누운 적한테 라밤기 써서 돈까스 만들 수 있음ㅋㅋ 따로 떼서 슈아딜교용 선택지로 챙기는 것도 가능하다 이거죠

일반 기술 중에도 라밤에 준하는 DPS를 가진 스킬이 제법 있는데(ex 일도양단, 덮죽, 뇌폭, 밤까, 블랙홀 등)
이런 것도 좀 감안해봐야 할 듯? (수정됨)
2025-07-02 19:16
휘휘 (121.187.*.96) 2025-07-02 20:19
@모야모 설명 감사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자 했던 것은 잡기 후 극적인 딜이 가능한 잡기 클래스와 그렇지 못한 클래스는 구분해서 패치했으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못한 클래스들에 대해서 너프가 필요한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정도면 밸런스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상향을 바라고 예시로 들은 것은 아닙니다.
스칼라를 상대로 비잡기 클래스의 입장도 경험하고 싶긴 하지만 상대해볼 기회가 많이 없네요.

자세하게 아는 것은 아니지만 스칼라를 직접 사용해봤고 꽤 근래에 블랙홀 딜, 기술 거리 버프를 받아서 잡기 후 블랙홀, 무적 연계하면 좋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글쓰고 나서도 보충해야 하나 싶어서 걸리는 부분 이였는데 지적 감사합니다.

스칼라가 라밤 기술의 동작이 느려서 중간에 끊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고 다른 기술 연계를 대신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잡기 이후에 라밤기 딜을 넣기 힘든 측면에서만 예시로 들긴 했습니다. 단순한 관점으로 적어서 모야모님께서 길게 설명하시게 만든 점은 죄송합니다.
다른 부분에서 리턴 받은 부분이 있는데 당연히 라밤 딜까지 가져갈 수는 없는 것이지요. 하지만 다른 기술로 리턴 받기 이전에 라밤기의 활용성이 좋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마음도 듭니다.

망치돌리기를 슈아 딜교 용 관점으로 봤을 때 그런 느낌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거리 벌리는 원거리 상대로는 따라가서 사용하기 힘들고, 잡기 클래스 상대로는 무방비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상대를 보고 중간에 캔슬 해야 견제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근거리 비잡기 클래스를 상대로는 확실히 좋았습니다.
이 정도는 카운터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밸런스에 대한 문제 의식은 못 느낀 것 같습니다.
라밤 기술 필살기의 관점에서 볼 때는 많이 아쉽습니다.

신의 무게추 무적으로 상대의 잡기를 흘리는 상황은 애매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잡기를 예상해서 무적으로 흘려본 적이 있긴 합니다. 하지만 망치를 먼저 던지고 점프 뛰는 모션이 있어서 점프 도중에는 잡히긴 합니다. 판정 이슈도 생각해봐야겠지만 이 부분은 잡기와 밸런스가 어느 정도 맞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버프 받은 이후까지 스칼라를 사용해보고 클변을 했었는데 블랙홀, 거리 버그가 잦았기 때문에 아직 이론상 좋은 것이 맞다고 봅니다.
버그만 개선된다면 더 이상 건드릴게 없다고 생각되는 클래스라 메커니즘이 잘 맞는 유저들은 사용할 겁니다.

태산 가르기가 제가 제일 심각하게 보는 라밤 기술이긴 합니다. 좀 더 고민해보고 예시로 넣을 수 있으면 수정하겠습니다.

저도 타이탄은보다 다른 몇몇 잡기 클래스들이 라밤 두 번 또는 라밤 + 라밤급 딜 넣는 것을 완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지식이 부족합니다 천천히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정됨)
2025-07-02 20:19
모야모 (125.128.*.186) 2025-07-02 21:54
@휘휘 대참격은 라밤 기술이 아니라 드라카니아의 주딜기입니다…
2025-07-02 21:54
휘휘 (121.187.*.96) 2025-07-03 00:10
@모야모 아..제가 생각한게 도제 태산 가르기로 착각했네요.. 수정하겠습니다 레타나스 대참격 좁고 느린 거 인정합니다 (수정됨)
2025-07-03 00:10
모야모 (125.128.*.186) 2025-07-03 03:21
@휘휘 아니 레타가 쓰는 전승 베기는 벼락불입니다;;
대참격은 드라만 써요 그리고 내장 스펙 자체가 구린 기술은 아닙니다 다루기 어려운 거지
맞추는 데 실력이 필요한 기술로 예시를 들었을 뿐임다
2025-07-03 03:21
휘휘 (121.187.*.96) 2025-07-03 05:59
@모야모 아ㅋㅋㅋ그러네요 왜 레타라 그랬는지 정신 나간 상태로 답변드렸네요..
레타, 드라 둘 다 맛보기로 잠깐 사용해봐서 전체적으로 어떤 말씀이신지는 이해했습니다.
딜은 정말 좋던데 자동 타겟팅 보정없이 수동으로 맞출 수 있겠나 싶긴 하더라고요. (수정됨)
2025-07-03 05:59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글쓰기